도서 상세페이지

KDC : 813.7
도서 난한 그대의 빛나는 마음 : 북한 문학 속의 백석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SM0000095774 시립 종합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분단 이후 북한에 남은 시인 백석, 그는 무엇을 생각하고 어떤 글을 썼는가 그저 쓰고 싶은 글을 마음 가는 대로 쓰는 것. 이는 문학이 생겨나게 하는 토대이자 문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천부적으로 주어져야 할 조건일 터이다.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지는 이 조건은 그러나 20세기 한반도의 문학인에게 전혀 당연한 것이 아니었다. 당연하기는커녕 그들에게 자신이 쓰고픈 글을 마음 놓고 쓰는 일은 극소수만 누리는 행운에 가까웠음을 오늘의 우리는 곧잘 잊곤 한다. 말할 나위 없이 그 주된 이유는 정치권력의 검열과 감시였다. 민주화 이전 한반도의 남쪽도 별반 다르지 않았지만 그 북쪽에서는 특히 권력의 비위를 거스르는 문학이 존립할 자리 자체가 없었고, 문학인 자신은 글쓰기를 멈춘 채 침묵하거나, 아니면 글 한 줄, 낱말 하나 고르는 데 생사를 걸어야 했다. 그와 같은 침묵을 대표적으로 보여준 인물이 1930년대 조선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받았던 백석이다. 분단 후 고향인 이북에 남은 그는 1960년대 초까지 시, 아동문학(동시와 동화시), 평론, 번역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했으나, 1962년에 쓴 동시 「나루터」 이후 세상을 떠났다고 알려진 1996년까지 30년 넘는 세월 동안 아무런 작품도 발표하지 않았다. 글을 안 쓴 것인지 못 쓴 것인지는 밝혀진 바 없다. 그러나 그가 그 시기 북한이 아닌 다른 곳의 거주민이었다면 사정이 사뭇 달랐으리라는 것은 누구에게나 가능한 상상이다. 문학평론가이며 가천대에 재직하고 있는 이상숙 교수의 『가난한 그대의 빛나는 마음 - 북한 문학 속의 백석』은 바로 백석이 분단 후 북한에서 펼친 문학 활동을 두루 살핀 연구서다. 저자는 분단 후 백석의 문학 활동을 세 시기로 구분한다. 소련(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 문학 번역에 몰두하던 1940년대 후반~1955년, 스탈린이 죽고 나서 소련에 도래한 ‘해빙기’에 힘입어 북한 문학계에도 훈풍이 감도는 가운데 백석이 가장 활발하게 창작에 임했던 1956~1958년, 그리고 “사실상의 숙청”을 당해 1959년 1월 량강도 삼수군 관평리에 ‘현지작가’로 파견된 이후 1962년까지가 그것이다. 이 책의 「만주 시절 - 러시아 문학 번역과 시인의 슬픔」, 「백석의 번역시」, 「백석의 번역소설」은 백석이 1940년 만주에 이주한 뒤 방금 말한 첫 번째 시기를 통과하기까지 번역가로서의 활동을 조명한 장들이다. 문학 경력 처음부터 백석은 번역가이기도 했다. 1935년 첫 시 「정주성定州城」을 내놓기에 앞서 영어 산문들과 존 던John Donne, 데이비스William Henry Davies 등의 영시를 번역해 발표하면서 활동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만주에 살 때는 러시아어 소설들을 번역하기 시작했고, 이것은 해방 후 북한 사회가 소련을 모범으로 삼은 데 발맞춰 수많은 소련 소설, 시, 평론을 번역하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저자에 따르면 장편 소설을 포함한 번역소설이 수십 편이고, 번역시 또한 200여 편이 넘는 분량이라고 한다. 그중 많은 부분이 아직 미답의 영역에 속하지만 기왕에 입수된 작품들에 관한 한 번역의 수준도 높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중론이다. 실제로 저자는 백석이 조선어로 시를 쓸 수 없었던 1940년대 초반 만주에서 번역한 니콜라이 바이코프의 소설들을 예로 들어, 그 이전에 백석이 시에서 보여준 남다른 언어 감각과 어휘 구사(가령 백석이 만든 말로, 시에서는 사용한 적 없는 ‘검트레하다’ 같은 형용사)가 번역에서도 살아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이렇게 양과 질 모두 주목할 만한 까닭에 저자는 백석의 번역 활동을 문학적 잉여 행위나 창작열의 대체물로 여길 것이 아니라 백석 문학을 지탱하는 엄연한 한 축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대중 선전과 고무의 수사, 김일성 찬양으로 대표되는 북한 시단의 풍토가 백석에게는 맞지 않아 절필하고 싶었지만 호구지책으로 번역을 택했고 번역을 통해 자신의 문학관을 설파하고 문학인의 지조를 지켰다”고 보려는 태도를 조심스럽게 경계한다. 추측일 뿐 증거도 논거도 없다는 점에서다. “백석의 번역이 어떠한 ‘문학적 선택’이었을 수도 있고 그랬으리라 생각하지만, 그것은 가정을 용인하는 것에서 일단락될 문제가 아니라 수많은 번역문학 작품의 분석을 통해 귀납적으로 이른 결론이어야 한다.” 백석의 번역문학에 대한 접근이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지금 새겨볼 발언일 것이다. 저자가 참여한 연구팀이 발굴하여 그 전문이 이 책에 부록으로 실려 있는 백석의 번역소설 두 편, 「자랑」과 「숨박꼭질」도 흥미로운 읽을거리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771pam a2200289 c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400446
005 20240228093340
007 ta
008 201203s2020 ulka 000 f kor
020 9788964361863 93810: \18000
023 CIP2020051447
035 (145002)KMO202100562 UB20200836802
040 145002 145002 011001 148100
052 01 813.7 21-85
056 813.7 26
082 01 895.735 223
090 813.7 1684
245 00 가난한 그대의 빛나는 마음 : 북한 문학 속의 백석 / 이상숙 지음
260 서울 : 삼인, 2020
300 255 p. : 삽화 ; 23 cm
650 8 한국 현대 소설
653 가난한 그대 마음 북한문학 백석 한국현대소설 백석소설
700 1 이상숙, 1969-, 李相淑
740 02 북한 문학 속의 백석
950 0 \18000
049 0 SM0000095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