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페이지

KDC : 712
도서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 3 : 우리가 몰랐던 식물 이름의 유래, 식물 1
marc 보기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신청
HM0000069715 v.3 충무 아동자료실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호대차

상세정보

궁궐에는 없는 꽃이라서 무궁화?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 -식물1》에서는 우리가 흔히 만날 수 있는 여러 식물 이름에 대해 알아보아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나라꽃은 다들 알고 있는 것처럼 무궁화예요. 무궁화는 오랜 옛날부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꽃이었어요. 신라 시대 때 외국으로 보낸 문서에는 신라가 스스로를 가리켜 ‘근화향’, 즉 ‘무궁화가 많이 피는 나라’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있어요. 무궁화라는 이름은 ‘없을 무(無), 다할 궁(窮)’을 써서 ‘마르지 않도록 피는 꽃’는 의미라고도 하고 ‘없을 무(無), 궁궐 궁(宮)’을 써서 ‘궁궐에는 없는 꽃’이라는 의미라고도 해요. 무궁화는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때 꽃잎이 오므라들면서 져요. 그리고 다음 날 아침에 다시 활짝 피지요. 이런 식으로 100일 정도 계속 꽃을 피우기 때문에 ‘마르지 않도록 피는 꽃’이라는 거예요. 그럴 듯하죠? 하지만 궁궐에도 없는 꽃이라니, 이건 무슨 말이냐고요? 중국의 한 임금이 부인을 위해 많은 꽃을 궁궐에 심었는데, 다른 꽃은 다 피었는데 무궁화만 꽃을 피우지 않아 ‘궁궐에는 없는 꽃’이라는 의미로 ‘무궁화’라고 이름을 지어 불렀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거예요. 어때요? 내가 알고 있는 무궁화의 이름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알게 되니까 재미있지요? 왠지 더 친숙해진 것 같지 않나요? 이처럼 이 책 속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여러 식물의 이름이 어떻게 생겼는지가 담겨 있답니다.

Marc 보기

시설이용현황
리더 00792nam a2200277 k 4500
TAG IND 내용
001 KMO202200002
005 20220105102616
008 220104s2021 ulka j 000a kor
020 9791191142372(3) 74700: \11000
035 (145019)KMO202119589 UB20220001776
040 145019 145019 148238
056 712 26
090 712 왜68기 3
245 00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 3: 우리가 몰랐던 식물 이름의 유래, 식물 1/ 박영산 글; 이형진 그림.
246 13 표제관련정보: “너 이름이 뭐니?” 이름 공부로 시작하는 국어 공부 우리와 친숙한 여러 동물 이름에 대해 알아보아요
260 서울: 기린미디어, 2021
300 80 p.: 천연색삽화; 25 cm
521 아동용
653 진달래 자작나무 봉숭아 배추 시금치 무궁화 뽕나무
700 1 박영산
740 02 우리가 몰랐던 식물 이름의 유래 식물 1
950 0 \11000
049 0 HM0000069715 3 아동